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eep learning
- 안드로이드
- 버전 업그레이드
- bazel
- ubuntu
- YOLO
- 이미지인식
- 지도
- GPU
- #YOLO #darknet # cuda #gpu
- 이미지 인식
- virtualenv
- API
- 자신만의
- Python
- Android Studio
- cudnn
- 현재위치
- tensorflow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opencv
- Google Map
- yolo mark
- CUDA
- googlemp
- Android
- Today
- Total
Be happy
오늘은 윈도우(Window) 환경에서 웹서버 php 코딩하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우선 로그인을 한 뒤 호스팅관리에 들어가서 좌측에 있는 웹 FTP에 들어갑니다. 접속은 인터넷 익스플로어로 하는걸 추천드립니다. 아이디는 cafe24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는 cafe24 비밀번호가 아닌 저번에 만들었던 MySQL 웹어드민 비밀번호를 입력하시길 바랍니다그리고 코딩을 하기전에, 메모장을 열어서 .htaccess라는 이름의 파일을 만들고 그 파일에다가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쳐줍니다.php_value error_reporting 22527 php_flag display_errors on 위 이미지와 같은 위치에 배치해줍니다.
오늘은 cafe24의 MySQL(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로그인을 한 뒤에, 나의 서비스관리를 누릅니다. 그리고, 좌측 하단부에 서비스접속관리에서 MySQL 웹어드민을 누릅니다. 그리고, DB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또다른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필요한데,순서대로 진행한 후에 로그인을 하면 이런창이 뜨게 됩니다. 그리고 좌측에서 아래에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누르면 데이터베이스 접속목록이 나오는데,거기서 로그인한 아이디로 접속을 하게되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수있는 창이 나옵니다. 테이블 작업을 누르시면, 기호에 맞게 데이터베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저희의 이번작품은, 저번작품의 단점(불필요한 장비가 많다는점)을 보완하기 위해,웹 호스팅 서버를 이용하기로 했습니다.웹 호스팅 서버는 aws, cafe24 등등 많은 서버가 있습니다.저희는 그중에서 cafe24를 택하였습니다 (특별한 이유는 없습니다) (카페24 접속하기) 우선 회원가입을 진행한 뒤, 웹 호스팅 카테고리에서 10G광호스트를 누릅니다. 그리고 취향에 맞는 서버를 신청합니다 (저희는 비지니스 3개월을 신청했습니다) 그럼 이제, 웹 호스팅 서버는 준비가 다 되었습니다!